본문 바로가기

이런저런 잡썰

게임을 잘하는것의 의미

반응형

 

무언가를 잘한다는건 거기에 쏟은 시간이 일단 많다는거다. 재능있는 사람들도 거기에 시간을 투자해봐야 재능이 있는지 없는지를 아는거라   ' 잘한다 = 시간 투자 ' 이게 기본공식이다.

 

공부를 잘하는 애들도 거기에 시간 투자를 많이한 사람들이고 운동을 잘하는 사람들도 거기에 시간을 많이 투자한 사람들이다. 게임 역시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재능러들은 시간 투자대비 결과가 아주 좋거나 일반인들이 생각하지 못한것들을 시도해서 좋은 결과를 끌어내는 그런 사람들이다. 

 

선수급으로 가려면 결국 열심히해서만 되는것도 아니고 재능도 있어야하는데 그 밑구간 일반적인 사람들이 잘하려면 결국 그냥 시간 투자다. 

 

물론 이 시간 투자 역시 똑똑하게 해야하는거고 잘못된 방식으로 막연히 시간만 갈아버리면 몇시간을 하든 결과는 그다지 좋지 않을꺼다. 정답은 없지만 기초적인건 있으니 초보자들은 다 필요없고 일단 기초적인 부분을 연습하고 그게 능숙해지면  그 다음 스텝으로 천천히 넘어가야한다. 그러다보면 어느정도 눈치가 있는 사람들은 혼자서 깨우치는것도 생기고 그럼 잘해지는거다.

 

근데 왜 우리는 이런 쓰잘떼기 없는걸 잘해지려고 할까??? 선수급으로 잘하는 사람들은 그걸 이용해서 큰돈을 벌수 있지만 그 외에 다른 사람들은 왜 그걸 잘해지려고하는걸까??  여러가지 의미가 있겠지만 오늘 말하고 싶은거는  대인 관계이다.

 

지금은 롤이란 게임이 가장 인기있지만 본인이 학창시절때는 스타크래프트가 가장 인기 많은 게임이었다. 

학폭에 시달리는 찐따남이라도 스타를 잘한다?? 그럼 바로 학폭이 종료되고 같은반 애들 스타 가르쳐주고 다른반 대항 대표로 나가던 그런 시절이었다. 

 

본인이 학술적인 지식이 없어서 말할순 없지만 저런 인간의 심리를 잘보면 아무리 쓸데 없어도 결국 인기있는 분야에서 본인들도 잘해지고 싶은 욕구라는게 있는거 같다. 

 

어릴때부터 지금까지 보면 진짜 대인관계가 서투른 사람들이라도 저런거 하나만 잘해도 주위에 사람들이 많아진다. 

그럼 그런 사람들도 사람들을 접하다보니 대인관계가 늘게된다. 위에 말한대로 잘한다 = 많이 접한다, 시간을 많이 투자한다.

 

이런 순기능도 있어서 어느정도는 도움이 되는것도 있는거 같다. 본인 사촌 동생도 수줍음이 많고 남들 앞에서 말도 제대로 못했던 애였는데  롤티어가 챌린저라서 주위에 사람들이 많았고  언제 다시 만나니 말도 이제 잘하고 밝은 성격이 됐던 기억이다. 

 

다만 이 게임의 인식이 안좋아서 대부분 못하게 아니면 덜하게 만드는게  사실이고  본인도 같은 생각은 맞다. 

나이가 들면 당연히 본업이 우선이고 게임은 후순위 쭈욱 밀려서 잘해야 5순위 못하면 아예 순위권에도 없다. 

 

그래도 저 영상보고 어릴적 기억이 떠올라서 글써본다. 무작정 나쁜 기능이 있는것도 아니고 좋은 기능도 있다고

728x90
반응형

'이런저런 잡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스박스 구독 가입하는법  (0) 2021.10.12
back 4 blood 출시  (0) 2021.10.12
배달비는 누가 부담할까??  (0) 2021.10.05
알수없는 쿠팡 AI  (0) 2021.10.04
쿠팡이츠 순수익 대략 계산해보기  (0) 2021.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