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런저런 잡썰

배달비는 누가 부담할까??

반응형

 

쿠팡이츠 배달하면 배달비 자체는 2~3천원 더 멀면 5~6천원인데  우리는 먼곳을 가면 단가가 막 만원~ 만오천원 이런식이다. 

 

여기서 궁금한게 이 배달비는 그럼 누가 다 부담하느냐? 이거였는데 간단하게 답이 나온게  그냥 고객 전가이다.

 

그냥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A라는 매장에서 치킨을 만원에 판다고 쳐보자  그럼 배달시에는 치킨 한마리에 만이천원 이런식으로 음식 가격을 올리고  거기에 더 해서 주문금액 만오천원시에 배달가능 이런식으로 되있는 상황

 

그럼 부가적인걸 더 주문해야하는데 이 부가적인 메뉴 역시 가격이 올라가있다. 

이거 역시 예를들어 치즈볼이라 치고 매장에선 3천원인게 배달시에는 5천원 이런식이다.

 

그럼 사업주 입장에선 배달로 주문시에 이미 5천원 가량을 더 챙긴거고 이걸로 쿠팡이츠나 배달의 민족 업체들한테 수수료를 내는식인거다.  물론 아닌곳도 있지만 어느정도 약삭빠른 업체에선 대부분 이렇게 적용하고 있다.

 

 

 

 

예전 뉴스에서 이렇게 보도가 된게 있고 사람들은 뭐 배신감이니 뭐니 저렇게 비싸면 가서 사먹지 뭐하러 시키냐?

배달비 공짜라면서 다 속인거다. 라는데  저말이 맞다  비싸다 싶으면 그냥 가서 사먹으면된다. 아주 간단히 해결된다.

근데 시키는 이유를 생각해보면 본인이 나가긴 귀찮고 하니 시키는건데 우리나라는 예전부터 배달비는 무료라는 인식이 커서 무조건 공짜로 생각한다. 하지만 그들이 매번 외치는것처럼 이제는 시대가 달라졌다.

 

배달도 그냥 이제는 서비스비를 지불해야한다는거다.  싫으면 나가서 사먹어야지  버거킹 같은곳은 오프라인 매장 이용시 이벤트, 혜택이 엄청 많은데 굳이 집에서 시켜먹어야 할 이유는 더더욱 없다. 정말로 매장한테만 좋은일 시키는꼴 

 

하지만 우리는 이미 편리함의 노예가 되버린 상황이라 저걸 알면서도 버릴수는 없을거다. 

솔직히 너무 너무 편하거든 

728x90
반응형

'이런저런 잡썰'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ck 4 blood 출시  (0) 2021.10.12
게임을 잘하는것의 의미  (0) 2021.10.09
알수없는 쿠팡 AI  (0) 2021.10.04
쿠팡이츠 순수익 대략 계산해보기  (0) 2021.09.05
어째 내가 내 목을 친거 같다..  (0) 2021.09.05